잠재적 시간의 형상 (figure)
 
미술 평론가 김 수 현
 
공간적 조형 개념이 지배하는 미술에 비해 운동을 기록하는 시간적 매체로서의 영화와의 만남은 사실상 회화와 사진과의 관계 이상으로 훨씬 더 복잡하다. 이는 토탈 아트적인 요소인 영화라는 매체 자체에 이미 함축된 여러 분야와의 관계가 매우 복합 중층적일 뿐 아니라, 이의 부분 집합일 시각적 요소 또한 사진이라는 사이 매체까지 포함해야 하는 기계적 지각에 대한 성찰이 절실히 필요하기 때문일 것 이다. 이 중 비디오 아트와 실험 영화와의 조우는 각기 매체 자체에 대한 자기 반성성이 가장 잘 드러나는 두 분야의 만남으로써, 현대 예술의 복합적이고도 자기 반영적인 특징들을 잘 표현하는 장소이자, 바로 여기에 김 형기의 작품이 이들 사이에 위치하게 될 것 이다.

김 형기의 작품은 영상 이미지의 특징인 빛이라는 비물질의 시간을 통한 가시화, 그리고 그 기계적 재배치(réarrangement)의 현상으로서의 이미지라는 조건을 세 가지 개념으로 실험하는 것으로 보여 진다. 첫째, 특히 이번 그의 작업 대부분에서 가장 두드러진다 할 수 있는 운동의 조건으로서의 시간성에 대한 탐구는 주로 시간의 늘림/절단이라는 전인적 조작을 통한 잠재적(virtuel) 시간의 발견과 이에 따른 형상화에 대한 것 인데, 이는 특히 완결된 의미에서의 형태(forme)라기 보다는 “이전(pré-)”이라는 또 다른 의미에서의 가능성(possibilité)으로서의 형상(figure)을 의미한다 할 수 있겠다. 이러한 작업은 또한 영화라는 매체 자체의 초기 구조화를 시각화하는 과정 자체로 드러나기도 한다. 두 번째는 프레임속의 프레임이라는 심연 구조(mise en abyme)를 통한 스크린이라는 공간 구조 자체와 평면성에 대한 자기 반영적(auto réflexive) 폐쇄 회로를 보여준다. 마지막 세 번째로 거울 단계로서의 스크린이라는 “봄/보여짐(regarder/regardé)”으로서의 메카니즘을 관객과의 상호 교환적 응시 시스템이라는 전시 구조 자체를 드러내는 프로세스로써 보여 준다는 것 이다.
 
사실 첫 번째 군의 작품들에서 보여지는 개념은 이미 구조주의 영화(film structural)와도 같은 실험 영화에서도 사용되어진 기법으로써, 스노우, 워홀의 영화에서도 보여지듯, 시간이 공간을 결정짓는다는 지속(durée)의 개념으로서의 시간의 재현(représentation)이 아닌 실제 시간의 제시(présentation)라는 안티 환영으로서의 이미지들에서 주로 볼 수 있다. 이는 초기 사진의 빛에 노출된 감광 시간에 의해 형상이 결정된다고 하는 카메라 매체 자체의 구조적 본질을 드러내듯 김 형기의 작업, <Passenger>에서 볼 수 있듯이, 내러티브를 대신하는 지나가는 행인들의 신체 형상의 변화와 그 기록들은 “인간-눈”으로는 놓치고 지나가는 어느 순간들의 “기계-눈”의 가시화를 통한 공간의 형상화가 마치 잠재적 시간의 솟아오름으로서의 형상적인(passage figural) 모습을 보여준다는 것 이다. 이는 마치 회화에서의 세잔의 숨겨진 붓 터치의 흔적처럼 시간이라는 잠재태속에 내재된 형상의 융기가 영상 이미지에서는 빛-신체의 그라피즘(ciné-graphie)으로서 표출되는 것과 유사 선상에 위치할 수 있음을 표현한다. 이 작품은 동시에 심연으로서의 액자화 구조를 통한 여러 시간대의 균열과 간극의 공존을 통한 복제의 시간으로서의 영상 이미지의 조건 또한 드러낸다.
이러한 심연 구조는 <Pris-on>이라는 작품에서 가장 그 자기 반영적인 성격을 잘 보여준다 할 수 있다. 프레임으로서의 감옥의 문, 그리고 그 창문/창살의 중첩으로서의 그리드의 폐쇄적 반복은 이미지의 조건을 상징하는 동시에 감옥 속의 소녀가 되받아치는 주/객체가 뒤바뀐 응시의 혼돈과 함께, 그리드(grid)와 모더니즘 미술과의 관계에 대한 크라우스의 메아리를 상기시키는 듯한 질문을 던지기도 하기 때문이다. 이는 특히 <I C U>같은 작품에서처럼 지네브라 벤치의 복사본 초상화 이미지의 눈에 설치된 CCD 카메라에 의해 거꾸로 비춰지는 관객들의 모습을 바라보는 상호 교환적 거울 단계에로의 회귀를 통해 “보는자/보여지는 자”로서의 주/객의 와해를 경험하는 순간을 제공하기도 한다.
 
이에 <Flip>이라는 작품에서는 시간성에 대한 실험과 동시에 사진과 영화와의 원초적 관계를 드러낸다. 빠르게 고개를 휘젓는 소녀의 모습을 고속 촬영한 시퀀스 사진을 플립 시켜, 좌우 2개의 사진에서 시간의 더딤과 빠름에 의한 활동사진과 연속적 이미지 효과를 동시에 보여줌으로써, 사진과 초기 영화와의 관계에 의한 영상 이미지에로의 프로세스를 보여 준다. 이러한 의도는 <공전 궤도>라는 작품에서 가장 잘 드러나는데, 머브리지(Muybridge)의 사진에서처럼 한 걸음을 걷는 12프레임의 사진을 이용해 활동사진의 근원을 탐구하는 자기 반영적 제스츄어로도 드러난다.
 
사실 이렇듯 그의 여러 작업들은 회화, 사진, 영화라는 여러 매체 간을 넘나들며 시각성에 대한 자의식적 질문의 형식을 띈 형상들을 보게 됨은 사진이라는 과거형적 매체를 영상이라는 현재 진행형으로서의 움직이는 시간의 흐름 속에서 새로운 시간성을 창조하고자 하는 예술가의 전인적 위치가 결국은 예술의 영원한 화두였던 죽음을 극복하고자 하는 순간성/영원성에로의 도플갱어적 분신의 욕망의 산물로서의 영화 이미지, 즉 시간의 소유와 그 반복의 의미임을 드러내는 듯하다.

현재 주 프랑스 한국 문화원(Centre Culturel Coréen) 큐레이터
Back to Top